티스토리 뷰
문제
NxN 크기의 시험관이 있다. 시험관은 1x1 크기의 칸으로 나누어지며, 특정한 위치에는 바이러스가 존재할 수 있다. 모든 바이러스는 1번부터 K번까지의 바이러스 종류 중 하나에 속한다.
시험관에 존재하는 모든 바이러스는 1초마다 상, 하, 좌, 우의 방향으로 증식해 나간다. 단, 매 초마다 번호가 낮은 종류의 바이러스부터 먼저 증식한다. 또한 증식 과정에서 특정한 칸에 이미 어떠한 바이러스가 존재한다면, 그 곳에는 다른 바이러스가 들어갈 수 없다.
시험관의 크기와 바이러스의 위치 정보가 주어졌을 때, S초가 지난 후에 (X,Y)에 존재하는 바이러스의 종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만약 S초가 지난 후에 해당 위치에 바이러스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0을 출력한다. 이 때 X와 Y는 각각 행과 열의 위치를 의미하며, 시험관의 가장 왼쪽 위에 해당하는 곳은 (1,1)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3x3 크기의 시험관이 있다고 하자. 서로 다른 1번, 2번, 3번 바이러스가 각각 (1,1), (1,3), (3,1)에 위치해 있다. 이 때 2초가 지난 뒤에 (3,2)에 존재하는 바이러스의 종류를 계산해보자.

1초가 지난 후에 시험관의 상태는 다음과 같다.

2초가 지난 후에 시험관의 상태는 다음과 같다.

결과적으로 2초가 지난 뒤에 (3,2)에 존재하는 바이러스의 종류는 3번 바이러스다. 따라서 3을 출력하면 정답이다.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N, K가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1 ≤ N ≤ 200, 1 ≤ K ≤ 1,000)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걸쳐서 시험관의 정보가 주어진다. 각 행은 N개의 원소로 구성되며, 해당 위치에 존재하는 바이러스의 번호가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단, 해당 위치에 바이러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0이 주어진다. 또한 모든 바이러스의 번호는 K이하의 자연수로만 주어진다. N+2번째 줄에는 S, X, Y가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0 ≤ S ≤ 10,000, 1 ≤ X, Y ≤ N)
출력
S초 뒤에 (X,Y)에 존재하는 바이러스의 종류를 출력한다. 만약 S초 뒤에 해당 위치에 바이러스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0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3 3
1 0 2
0 0 0
3 0 0
2 3 2
예제 출력 1
3
예제 입력 2
3 3
1 0 2
0 0 0
3 0 0
1 2 2
예제 출력 2
0
좌표 문제하면 자동으로 BFS부터 떠올리게 된다.
기존 좌표 문제에 간단한 조건 몇개만 추가하면 정말 쉽게 풀 수 있는 문제!
1. BFS를 이용하여 좌표 이동을 생각해야함
-> 이때 바이러스가 작은 순서대로 먼저 큐에 담아야 하기 때문에 바이러스 리스트를 먼저 만들다.
바이러스를 오름차순으로 정렬을 하기 위해 람다함수식을 썼고, 바이러스도 큐에 같이 담는 식으로 바꿨당.
정렬 후에 큐에 담으면 사전 준비 끝~!
2. 시간을 어떻게 잴 것인지?
-> 이 외의 모든 것은 다른 좌표 문제와 그냥 동일하다고 볼 수 있는데
큐에 담겨 있는 모든 것을 돌리고 난 후에서야 시간을 +1 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그냥 시간도 큐에 얼레벌레 담아버렸당..ㅋㅋ
3. 나머지는 조건에 맞게 구현 하면 된다!!!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 sys.stdin.readline
n,k = map(int,input().split())
arr = [list(map(int,input().split())) for _ in range(n)]
s,x,y = map(int,input().split())
dx = [1,-1,0,0]
dy = [0,0,-1,1]
def bfs():
##q에 (바이러스번호,x,y,sec)순으로 입력
q = deque([])
temp = []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if arr[i][j] != 0 :
temp.append((arr[i][j],i,j,0))
temp.sort(key = lambda x : x[0])
for i in temp :
q.append(i)
while q:
vir,x,y,sec = q.popleft()
if sec == s :
break
for i in range(4):
nx = x + dx[i]
ny = y + dy[i]
if 0<=nx<n and 0<=ny<n :
if arr[nx][ny] == 0 :
arr[nx][ny] = vir
q.append((vir,nx,ny,sec+1))
bfs()
print(arr[x-1][y-1])
'켠김에 왕까지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골드4] 14502 연구소 (BFS/Pypy3 파이썬) (1) | 2023.02.15 |
---|---|
[BOJ / 골드 4] 도시 분할 계획 (0) | 2023.01.27 |
[BOJ/골드5] 동전 2 / 효율적인 화폐구성 (DP/Python) (5) | 2023.01.16 |
[BOJ] 9465번 스티커 (파이썬) (1) | 2022.03.25 |
- Total
- Today
- Yesterday
- 코테
- 리액트
- 이것이 코딩테스트다
- 개발자
- 홍익대
- github
- HTML
- JS
- CSS
- 멋쟁이사자처럼
- react
- Python
- 인프런
- 홍대
- IT
- JavaScript
- 크루스칼
- 컴공
- 멋사
- 파이썬
- 코딩
- 골드5
- 신장트리
- 이것이코딩테스트다
- BOJ
- 백준
- 알고리즘
- 백엔드
- 깃허브
- 코딩테스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