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 초 | 256 MB | 19064 | 9831 | 7021 | 50.136% |
문제
동물원에서 막 탈출한 원숭이 한 마리가 세상구경을 하고 있다. 그러다가 평화로운 마을에 가게 되었는데, 그곳에서는 알 수 없는 일이 벌어지고 있었다.
마을은 N개의 집과 그 집들을 연결하는 M개의 길로 이루어져 있다. 길은 어느 방향으로든지 다닐 수 있는 편리한 길이다. 그리고 각 길마다 길을 유지하는데 드는 유지비가 있다.
마을의 이장은 마을을 두 개의 분리된 마을로 분할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마을이 너무 커서 혼자서는 관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마을을 분할할 때는 각 분리된 마을 안에 집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분할해야 한다. 각 분리된 마을 안에 있는 임의의 두 집 사이에 경로가 항상 존재해야 한다는 뜻이다. 마을에는 집이 하나 이상 있어야 한다.
그렇게 마을의 이장은 계획을 세우다가 마을 안에 길이 너무 많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일단 분리된 두 마을 사이에 있는 길들은 필요가 없으므로 없앨 수 있다. 그리고 각 분리된 마을 안에서도 임의의 두 집 사이에 경로가 항상 존재하게 하면서 길을 더 없앨 수 있다. 마을의 이장은 위 조건을 만족하도록 길들을 모두 없애고 나머지 길의 유지비의 합을 최소로 하고 싶다. 이것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집의 개수 N, 길의 개수 M이 주어진다. N은 2이상 100,000이하인 정수이고, M은 1이상 1,000,000이하인 정수이다. 그 다음 줄부터 M줄에 걸쳐 길의 정보가 A B C 세 개의 정수로 주어지는데 A번 집과 B번 집을 연결하는 길의 유지비가 C (1 ≤ C ≤ 1,000)라는 뜻이다.
출력
첫째 줄에 없애고 남은 길 유지비의 합의 최솟값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예제 출력
7 12 8
1 2 3
1 3 2
3 2 1
2 5 2
3 4 4
7 3 6
5 1 5
1 6 2
6 4 1
6 5 3
4 5 3
6 7 4
해결
크루스칼 알고리즘만 알고 있다면 누구나 풀 수 있는 문제!!!!!!!!!!!
이것이 코딩테스트이다에서 본 것처럼 "두 도시" , "최소한의 유지비" 라는 단어만 보고 바로 크루스칼 알고리즘을 떠올릴 수 있었다.
하지만 도시를 두개로 분할하는 과정이 조금 고민되었다.
1.유지비가 가장 큰 애를 잘라야 하는데..... 어떻게......?
-> 최소 신장 트리를 먼저 만들고 가장 마지막에 붙은 애를 자르면 되겠다! 라는 아이디어가 떠올랐당!
코드
import sys
imput = sys.stdin.readline
def find(parent,x):
if parent[x] != x:
parent[x] = find(parent,parent[x])
return parent[x]
def union(parent,a,b):
a = find(parent,a)
b = find(parent,b)
if a < b:
parent[b] = a
else :
parent[a] = b
n,m = map(int,imput().split())
parent = [0] * (n+1)
for i in range(1,n+1):
parent[i] = i
edges = []
res = 0
#res도 필요!
for _ in range(m):
a,b,c = map(int,imput().split())
edges.append((c,a,b))
edges.sort()
addEdges = ()
for edge in edges:
cost,a,b = edge
if find(parent,a) != find(parent,b) :
union(parent,a,b)
addEdges = (cost,a,b)
res += cost
res -= addEdges[0]
print(res)
#사이클이 만들어지지 않는 간선 중 마지막으로 붙을 간선은 뺴야함!
처음 생각은 소트된 애 중 가장 뒷 부분([-1])을 뺴면 되겠구나 생각을 했었는데
그 edge가 사이클을 만들며 신장트리에 붙지 않을 수도 있겠다는 걸 꺠달았다.
그래서 addEdges를 만들어 신장트리가 만들어질 때 마다 갱신해주었고, 최종적 addEdges의 cost를 빼주면서 해결하였다. 끝!
'켠김에 왕까지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골드5] 18405 경쟁적 전염 (Python 파이썬/BFS) (1) | 2023.02.17 |
---|---|
[BOJ/골드4] 14502 연구소 (BFS/Pypy3 파이썬) (1) | 2023.02.15 |
[BOJ/골드5] 동전 2 / 효율적인 화폐구성 (DP/Python) (5) | 2023.01.16 |
[BOJ] 9465번 스티커 (파이썬) (1) | 2022.03.25 |
- Total
- Today
- Yesterday
- JS
- 멋쟁이사자처럼
- 백엔드
- 골드5
- 이것이 코딩테스트다
- Python
- 신장트리
- 크루스칼
- IT
- 깃허브
- 코딩
- JavaScript
- 백준
- 홍익대
- 리액트
- 코딩테스트
- 홍대
- BOJ
- HTML
- 컴공
- 개발자
- 파이썬
- CSS
- 알고리즘
- github
- 코테
- 멋사
- 이것이코딩테스트다
- 인프런
- reac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