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문제

현민이는 게임 캐릭터가 맵 안에서 움직이는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캐릭터가 있는 장소는 1 X 1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이뤄진 N X M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각각의 칸은 육지 또는 바다이다. 캐릭터는 동서남북 중 한 곳을 바라본다.

맵의 각 칸은 (A, B)로 나타낼 수 있고, A는 북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 B는 서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 캐릭터는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고, 바다로 되어 있는 공간에는 갈 수 없다. 캐릭터의 움직임을 설정하기 위해 정해 놓은 매뉴얼은 이러하다.

 

1. 현재 위치에서 현재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방향)부터 차례대로 갈 곳을 정한다.

 

2. 캐릭터의 바로 왼쪽 방향에 아직 가보지 않은 칸이 존재한다면, 왼쪽 방향으로 횐전한 다음 왼쪽으로 한 칸을 전진한다. 왼쪽 방향에 가보지 않은 칸이 없다면, 왼쪽 방향으로 회전만 수행하고 1단계로 돌아간다.

 

3. 만약 네 방향 모두 이미 가본 칸이거나 바다로 되어 있는 칸인 경우에는, 바라보는 방향을 유지한 채로 한 칸 뒤로 가고 1단계로 돌아간다. 단, 이때 뒤쪽 방향이 바다인 칸이라 뒤로 갈 수 없는 경우에는 움직임을 멈춘다.

 

현민이는 위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캐릭터의 움직임에 이상이 있는지 테스트하려고 한다. 메뉴얼에 따라 캐릭터를 이동시킨 뒤에, 캐릭터가 방문한 칸의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드시오.

 


입력 조건

첫째 줄에 맵의 세로 크기 N과 가로 크기 M을 공백으로 구분하여 입력한다.
(3 <= N, M <= 50)

 

둘째 줄에 게임 캐릭터가 있는 칸의 좌표 (A, B)와 바라보는 방햔 d가 각각 서로 공백으로 구분하여 주어진다. 방향 d의 값으로는 다음과 같이 4가지가 존재한다.

0 : 북쪽
1 : 동쪽
2 : 남쪽
3 : 서쪽

 

셋째 줄부터 맵이 육지인지 바다인지에 대한 정보가 주어진다. N개의 줄에 맵의 상태가 북쪽부터 남쪽 순서대로, 각 줄의 데이터는 서쪽부터 동쪽 순서대로 주어진다. 맵의 외각은 항상 바다로 되어 있다.

0 : 육지
1 : 바다


처음에 게임 캐릭터가 위치한 칸의 상태는 항상 육지이다.

 

출력 조건

첫째 줄에 이동을 마친 후 캐릭터가 방문한 칸의 수를 출력한다.


입력 예시                                                                                          출력 예시

4 4                                                                                           3
1 1 0 // (1, 1)에 북쪽(0)을 바라보고 서 있는 캐릭터
1 1 1 1
1 0 0 1
1 1 0 1
1 1 1 1


1차 도전

import sys
imput = sys.stdin.readline

dx = [0,1,0,-1]
dy = [-1,0,1,0]

n,m = map(int,imput().split())
row,col,dir = map(int,imput().split())
arr = [list(map(int,imput().split())) for _ in range(n)]
# 2차원 배열 입력받기

cnt = 1
arr[row][col] = 1

while True :
    for i in range(4):
        nx = row + dx[dir % 4]
        ny = col + dy[dir % 4]

        if arr[nx][ny] == 1 or nx < 0 or ny < 0 or nx > m or ny > n :
            dir += 1
            continue
        else :
            cnt += 1
            arr[nx][ny] = 1
            dir = dir%4
            row = nx
            col = ny
            break

        #이런 식으로 짜면 다시 돌아가지 못함 다시!
    if dir >= 4:
        break


print(cnt)

결과 : 실패

테스트 케이스가 하나밖에 없어서 정답인 줄 알았는데 다시 되돌아가는 코드가 없다.

dir = 4가 되면 다시 그 전 위치로 돌아가야하기 때문에 dir=4일 때 아예 반복문을 끝내는 아이디어가 틀렸다 ㅠㅠ

2차 도전

import sys
imput = sys.stdin.readline

dx = [0,1,0,-1]
dy = [-1,0,1,0]

n,m = map(int,imput().split())
row,col,dir = map(int,imput().split())
arr = [list(map(int,imput().split())) for _ in range(n)]
# 2차원 배열 입력받기

visited = [[0] * m for _ in range(n)]
visited[row][col] = 1
res = 1
cnt = 0

while True:
    dir -=1
    if dir == -1 :
        dir = 3

    nx  = row + dx[dir]
    ny  = col + dy[dir]

    if visited[nx][ny] == 0 and arr[nx][ny] == 0:
        res +=1
        visited[nx][ny] = 1
        row = nx
        col = ny
        cnt = 0
        continue
    else :
        cnt +=1

    if cnt == 4:
        #"방향을 유지하고 뒤로 간다"인데 대체 왜 빼지? ㅋㅋ => 내가 갈 방향을 빼면 뒤로 가는거니까!! 말로 설명하기 조금 어렵덩
        row -= dx[dir]
        col -= dy[dir]

        if arr[row][col] == 1:
            break
        else:
            cnt = 0
print(res)

결과 : 성공

맞은 줄 알고 답안을 확인 후 다시 푼 코드다.

 

일단 결정적으로 문제를 꼼꼼히 잘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다시 되돌아간다는 조건을 안 썼을 뿐만 아니라

네 방향을 다 돌았을 때 뒤에 바다가 있으면 게임을 끝내는 것인데 그냥 뒤가 1이면 끝내는 것이라 마음대로 생각해버렸다.

그래서 왜 배열을 두개 써야하는 지 몰랐고 결과적으로 한 배열에 방문을 했든 바다가 있든 1을 넣도록 짰었다.

책에서는 간단한 문제라고 하지만 문제를 꼼꼼히 읽고 조건을 모두 충족시키도록 구현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728x90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